본문 바로가기
건자재 공통

인도 건자재 시장

by betterfutureforus 2024. 4. 9.

요즘 인도 시장이 매우 핫하다.
고급 아파트 수요가 늘어나면서 너도 나도 인도로 달려가 투자 계획을 세우는 것 같다.

인도 경제성장률은 약 6%대.
전세계에서 이 정도 성장하는 곳이 몇 안되기에 많은 기업들이 눈 독 들인다.

정부 주도로 인프라 구축하고 있으나 속도가 매우 느리고, 28개 자치주가 독립 국가와 같은 개별 행정 형태로 운영하고 있어서 사실상 중앙 정부 차원의 강력한 정책 시행은 어렵다고 볼 수 있다.

인도의 도시화율은 23년 기준 42%수준이고 27년 정도 되면 45% 이상이 된다고 한다. 보통 도시화율 45%가 기초 인프라 구축 완료 시점으로 보고 이 이후부터가 고급 시장이 형성된다고들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선이다.

중국의 경우는 2009년 도시화율이 46%였고 2009년 이후로 고급 시장이 형성되고, 시장이 급성장하였다.

현재는 중산층 소득 수준이 낮아서 가격 중심의 시장이나, 고급 아파트가 점차 늘어나면 추후에는 중고가 시장이 확대되지 않을까 하는 기대도 공존하고 있다.

실제로 인도의 초고가 아파트 값은 연평균 15% 로 올라가고 있다.

인도는 부유층을 나누는 기준이 연간 소득 1만$ 이상인지를 보는데, 실제로 대졸 초임이 약 80만원/월 이라고 하고 이 연 소득을 보유한 인구가 전체의 12% 수준에 불과하다고 하니, 중고가 제품을 소비할 여력이 많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대부분은 가격에 민감한 중저가 시장으로 중국에서 수입한 제품들이 많고, 그나마 상업용 프로젝트 시장에서 글로벌 업체간 경쟁이 이뤄지고 있다. (예를 들면 3M, DuPont, Avery, Orafol )

국민 인식상 저렴한 천연 자재에 대한 선호가 높고, 특유한 생활 문화로 인해 한국산 제품이 침투하기가 여간 어려운게 아니다. 예를 들면 저렴한 천연석이 널려 있고, 벽은 벽지보다는 페인트를 선호한다. 창은 알루미늄을 사용하고 있고, 바닥, 욕실 등은 전부 천연대리석이다.

인도에서 천연석은 구하기가 쉽고 강도 및 내구성이 우수해서 주방 상판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주방 상판에 90% 이상이 천연석으로 되어 있다. 이유는 가격이다. M2에 8,600원 (쿼츠는 11~12만원, 인조대리석은 7~10만원이다)
대부분 거실 파티션이나 벽, 곡선 계단 난간이나 건물 facade에 쓰이고 있다.




'건자재 공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롯데 첨단소재 인조대리석 사업  (0) 2024.04.03
2024 KBIS  (0) 2024.03.03
미국 인기 천연석 석종  (0) 2024.02.23